Loading
2015. 5. 22. 18:05 - codeghost

CentOS 호스트명(hostname) 변경

들어가기 전

집에서 돌리던 서버 컴퓨터가 CentOS 6.6이였는데 몇일전부터 시스템이 손상됬는지 부팅이 되지 않았다.


서버 내부에 중요한 자료도 그렇게 없었던 터라 과감하게 포맷하고 CentOS7을 설치하기로 마음먹었다.


CentOS7을 설치하고보니 command가 너무 많이 달라져서 초기에 아이피를 보는 것 조차 애먹었었다.


나중에 알고보니 CentOS7에서 아이피를 볼려면 net-tools 패키지를 따로 설치해 줘야한다는 것을 알았다.


ifconfig 이외에도 호스트네임을 변경하는 방법도 변경되서 애먹었었는데,,


7이전 버전에서는 /etc/sysconfig/network 파일에 HOSTNAME을 정의하기만 하면 되었는데 7부터는 데비안 계열처럼 /etc/hostname 이라는 파일을 사용하도록 변경이 되었다.

기존 CentOS 6에서는..

기존 CentOS6 버전에서는 /etc/sysconfig/network 파일을 열어서 HOSTNAME을 정의하고 재부팅을 하면 됬었다.


# vi /etc/sysconfig/network

NETWORKING=yes

NETWORKING_IPV6=no

HOSTNAME=변경할hostname

CentOS 7에서는..

CentOS 7 에서는 기존 6버전 방법과 같게하면 hostname이 변경이 되지않기 때문에 hostnamectl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 hostnamectl set-hostname 변경할hostname


hostname을 확인하려면 hostname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 hostname


이렇게 hostname을 설정하면 /etc/hostname 이라는 파일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버전의 command 대부분이 우분투 등의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적응이 되질 않네.... 다시 CentOS6을 설치하든가 해야겠다...